격월로 유망 신성장분야의 글로벌 시장 동향과 이슈, 글로벌 기업의 투자전략, 주요국 정책 등의 분석 및 시사점 제공
총 1건
□ 글로벌 신피망 슬롯 초점
○ 반도체시장의 70%를 점하는 ‘시스템 반도체’(비메모리) 기술력 강화 필요
○ 중국은 인공지능, 자율주행 분야에서 미국을 빠르게 추격하며 급성장 : 인공지능 유니콘 32사중 중국기업은 10사
□ 글로벌 신산업 동향 : 정책 및 기술개발
○ (차세대 자동차 전략) 글로벌 자동차업계 경쟁구도, 차세대 기술 획득을 위한 4파전 연합으로 재편
○ (소재) 5G 등장으로 스마트폰용 소재에도 큰 변화 예상 : 대체소재 수요에 대응하여 유리, 수지가 대두
○ (중국 전기차 시장) VW, 도요타, 다임러 등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들은 적극적으로 중국 전기자동차 시장에 진출
○ (5G 정책) 일본은 5G 통신을 지역 제한하여 일반기업에게도 개방 예정
○ (5G 활용서비스) 5G를 활용한 새로운 사업서비스 기회 : 화웨이, 구글, 에릭슨, NTT 등 5G 스마트폰 연계 신서비스 창출
○ (이차전지) 수명을 측정하는 기술 개발로 새로운 부가 서비스 창출
○ (자율주행 라이다) 기업들의 개발 경쟁이 가속 : 소형, 중저가형으로 확산
□ 신산업별 동향
○ (전기차·자율차) 글로벌 업체간 전기차 전용의 플랫폼 개발 경쟁이 가속화, MaaS 개발 활발
○ (지능형 로봇) 관련 규정이 전무하여 개발된 로봇의 도입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
○ (드론) 일부 스타트업들은 규제가 느슨한 개도국에 먼저 진출하여 노하우와 정보를 축적, 드론 활용 비즈니스 모델 등장(드론버타이징, 수리 및 교육)
○ (IoT가전·스마트홈) 의류, 주거, 미용, 건강 기능을 개선하는 중소형 가전 스마트화 추진, 서비스 분야(의료·육아·유통 등)에서 스마트홈 연계 신사업 활발
○ (실감형콘텐츠) 5G 이동통신서비스는 실감형콘텐츠 성장을 가속화 하는 계기가 될 전망 : AR.VR, 인간능력 확장, 재활훈련 용으로도 수요 확대
○ (바이오·헬스) 미국은 건강분야를 2019년 5대 R&D 우선분야로 선정하고 기술투자를 확대, 중국은 규제개혁 확대로 피망 슬롯성장 촉진
○ (5G 이동통신) 한국이 세계최초 5G 상용화로 시장 주도의 첫발을 내디뎠지만, 2020년부터의 본격 경쟁에 대응 필요
○ (팹리스) 중국 팹리스 업체들은 자국 수요시장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세계 팹리스 50대 기업에 10개가 포함
○ (첨단세라믹) 국내 첨단세라믹(SiC) 소재피망 슬롯 발전의 제약성이 존재하지만 시장 환경은 긍정적
○ (이차전지) SK이노베이션, LG화학 등 주요 기업들은 미국, 유럽 등 주요시장에 생산공장 신증설을 추진하며 글로벌 입지를 강화
산업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“공공누리 제4유형 : 출처표시 + 상업적 금지 + 변경금지”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저작권정책 참조
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
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
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
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