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업연구원 (KIET)
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& TRADE
테이블 제목
제목
균형발전 불평등도의 구조적 특성과 정책과제
본문요약
수도권-비수도권 간 격차 64%, 비수도권 내 격차 36% (‘03~’22년 평균)
* 국가 전체 불평등도는 축소 경향을 보이나, 수도권-비수도권 간 격차는 2015년 이후 확대되어 ‘18년 74%, ’19년 72%까지 상승(연도별 불평등도 총합=100), 이후 완화되는 “역 U자형” 패턴
* 반면, 비수도권(광역시도) 내 불평등도는 30% 전후로 비교적 안정적 흐름을 유지, 이는 균형발전 문제의 핵심이 수도권-비수도권 간 격차에 있음을 시사
균형발전 저해 요인은 지방의 자립적 발전역량 부족
* “지방 청년 유출→ 저출산·고령화→ 지방소멸 직면 →인구 재유출”의 악순환 구조 고착화
* (인력) 청년층을 포함한 생산가능인구가 수도권으로 지속 유출되어 지방경제의 성장동력 약화
* (슬롯 사이트 추천) 고부가가치 지식기반슬롯 사이트 추천 일자리 부족과 슬롯 사이트 추천다양성 부족으로 인한 신슬롯 사이트 추천 육성 한계
* (기업) 지방 투자 유치 부족, 신설기업 감소, 성장기업 정체 등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어려운 구조 지속
균형발전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지방 실물경제 중심의 전략 강화 필요
* 기존의 “일자리가 사람을 부른다”는 전통적 지역경제 모델에서 벗어나, “인재가 고부가가치 기업과 슬롯 사이트 추천을 유치한다”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에 적응할 필요
* 이를 위해 지방이 자립적 역량 확충할 수 있도록 슬롯 사이트 추천·인력·기업 중심의 실물경제 강화 정책 확대
* ①역내 주력슬롯 사이트 추천과 연관성이 강한 신산업 육성 및 중소기업·창업기업 지원 강화를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, ②디지털 전환(DX) 도입으로 지방 제조업 고부가가치화 추진, ③지방 대학 협력 강화를 통한 인재 양성 및 산학연관 연계 활성화, ④주거·문화·교육 인프라 확충으로 청년층 정착 환경 조성 및 지방에서도 수도권 수준의 삶의 질 보장,